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보건협회가 주관한 2005년도 전국보건소 절주담당자 교육프로그램 만족도평가 설문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기간은 2005년 9월1일∼9월9일까지 1박 2일 동안 3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, 강의는 총 7강(각 강의시간 : 1시간 30분, 사례발표 : 50분)으로 구성되었다.


▶설문지 조사기간:2005년 9월 1일∼9월 9일

▶설문 응답자수 : 160명

▶통계분석방법 :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(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) 10.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, 빈도분석 실시


☞ 설문지 항목 1, 2, 3, 4, 5번

응답자의 특성은 표 1과 같다. 절주교육 프로그램만족도평가 설문지 응답자수는 160명이었다. 응답자들은 남성 30명(18.8%), 여성 130명(81.3%)이었다. 응답자 연령의 평균은 39.86세(표준편차 : 7.63)로 30∼40대(76.7%)가 주를 이루었으며, 절주사업을 담당한 기간의 평균은 9.10개월(표준편차 : 8.55)이었고, 간호학을 전공한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거의 절반에 이르는 48.1%를 차지하였다.


  표 1. 절주교육 프로그램 평가설문지 응답자의 특성

 

빈도

퍼센트(%)

    성  별

 

 

남 성

여 성

  30

130

18.8

81.3

    연 령 별 *

 

 

  20대

  30대

  40대

  50대

22

50

72

15

13.8

31.4

45.3

  9.4

    전  공

 

 

간호학

보건학

사회복지학

식품영양학

교육학

기타

77

24

  9

12

  1

37

48.1

15.0

  5.6

  7.5

  0.6

23.1

   무응답자 : 1명(0.6%)


 응답자의 보건소 근무지역을 살펴보면전남지역26명(16.3%)으로 가장 많았으며, 서울지역17명(10.6%),경기지역15명(9.4%),경남 및 충남지역각각 14명(8.8%) 순이었다.(표 2)


   표 2. 응답자의 보건소 근무지역


☞ 설문지 항목 6번

응답자가 근무하는 보건소에서 4가지 필수사업(금연, 절주, 운동 및 영양) 중 절주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에 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66.9%(107/160)가 '4순위' 라고 답하였고, '절주사업 미시행' 10.6%(17/160), 4가지 모두 '동등하게 행' 8.8%(14/160), '3순위' 6.3%(10/160), '2순위' 5.0%(8/160), '1순위'는 2.5%(4/160)에 불과하였다.(표 3)


   표 3. 절주사업 비중


☞ 설문지 항목 7번

 '절주교육 프로그램'의 유익성에 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절반이 넘는 56.3% (매우유익 : 15%, 유익 : 41.3%)가 대체로 '유익하다'고 응답하였으며, '보통'이 36.3%, 대체로 '유익하지 않았다' 는 응답은 7.6%에 불과하였다.(표 4)


   표 4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유익성


☞ 설문지 항목 8번

 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에 관한 질문에'유익성·흥미유발' 55.3%(88/159), '강의내용' 28.9%(46/159), '시간배분' 8.8%(14/159), '참여도' 6.9%(11/159) 순으로 나타났다.(표 5)


   표 5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되어야 할 점

   무응답 : 1명(0.6%)


☞ 설문지 항목 9번

 '절주교육 프로그램'시간에 대하여는 '적절하다'는 응답의 비율이 72.5%(116/160)로 가장 높았으며, '너무 길다'15.6%(25/160), '너무 짧다'고 응답한 비율은 11.9%(19/160)로 가장 낮았다.(표 6)


   표 6. 절주교육 프로그램 시간의 적절성


☞ 설문지 항목 10번

 이번 실시된 '절주교육 프로그램'이 응답자가 근무하는 보건소에서 절주사업 수행시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가? 라는 물음에 대체적으로 '도움이 될 것'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5.1% (도움 : 51.3%, 아주 도움 : 13.8%)였고, '보통'25.6%, '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'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9.4%를 차지하였다.(표 7)


   표 7. 절주사업 수행에 도움 정도


☞ 설문지 항목 11번

 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 참여정도에 관한 질문에 대체로 '참여함' 67.5%(참여 : 36.9%, 적극참여 : 30.6%), '보통'이 30.6%, '거의 참여하지 않았다'는 응답은 1.9%로 낮았다.(표 8)


   표 8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도


☞ 설문지 항목 12번

 '절주교육 프로그램'실시 전과 후에 절주관련 지식 10문항을 측정한 결과 '교육 전 절주관련 지식'의 평균은 8.65(표준편차 : 1.63)였고, '교육 후 절주관련 지식'의 평균은 9.64(표준편차 : 0.83)로 교육 후에 절주관련 지식이 대략 10%포인트 상승했음을 보여준다.(표 9)


  표 9. 교육 전 · 후의 절주관련 지식

 

평   균

 표 준 편 차

교육 전  지식

교육 후  지식

8.65

9.64

1.63

0.83

  무응답 : 4명(2.5%)


☞ 설문지 항목 13번

 표 10에서 절주사업 수행시 애로사항으로 '절주정보 및 홍보자료 부족'이 35,4%(56/158)로 가장 높았고, '지역주민참여 및 절주사업인식 부족'33.5%(53/158), '사업수행인력 부족'23.4%(37/158), '사업재정 불충분' 7.6%(12/158)의 순으로 나타났다.


   표 10. 절주사업 수행시 가장 애로사항

   무응답 : 2명(1.3%)


  이번 실시된 '절주교육 프로그램'의 만족도평가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, 응답자가 설문지 항목 7번의 '절주교육 프로그램'의 개선점으로 '강의 내용 및 강의방법'을 지적한 것을 제외하면,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는 의견이었다.(설문지 7∼11번 항목) 추가적으로 절주사업이 금년에 4가지 필수사업 중 하나로 포함되어 기존의 필수사업에 비해 사업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.(설문지 6번 항목)

  향후 보건소에 절주관련 정보 및 홍보자료 제공과 아울러 지역사회주민을 대상으로 범국민적인 절주사업의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.(설문지 13번 항목)

 

   김영규 / 대한보건협회  홍보팀장 




◆ 보건소 절주지도자교육에 대한 만족도평가 설문지 ◆



◎ 다음 질문을 읽고 해당사항을 기입하시거나 ∨표시하여 주십시오.


1. 귀하의 성별은?   □1. 남자         □2. 여자


2. 귀하의 연령은?   (만      세)


3. 귀하가 근무하는 보건소는 어느 지역입니까?

   □1. 부산   □2. 광주   □3.인천   □4. 전남   □5. 대전   □6. 강원  

   □7. 서울   □8. 대구   □9. 울산  □10. 경북  □11. 경남  □12. 경기 

   □13. 충북  □14. 충남  □15. 전북  □16. 제주


4. 절주사업을 담당하신 기간은?   (       )년   (       )개월


5. 귀하의 전공은 ?

   □1. 간호학    □2. 보건학    □3. 사회복지학   

   □4. 식품영양학    □5. 교육학    □6. 기타


6. 귀하가 근무하는 보건소에서는 4가지 필수사업(금연, 운동, 영양, 절주) 중

   절주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?

   □1. 1순위       □2. 2순위      □3. 3순위      □4. 4순위

   □5. 모두 동등하게 시행          □6. 절주사업 시행하지 않음


7. 이번  '절주교육 프로그램'이 얼마나 유익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?

   □1. 매우 유익하였다.         □2. 유익하였다.           □3. 보통이다. 

   □4. 별로 유익하지 않았다.    □5. 전혀 유익하지 않았다.


8. 이번 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서 부족한 점이나 고칠 것이 있다면?

   □1. 강의내용     □2. 시간배분      □3. 유익성, 흥미유발      □4. 참여도


9. '절주교육 프로그램' 시간의 적절성은?

   □1. 너무 길다     □2. 적절하다     □3. 너무 짧다


10. 이번 '절주교육 프로그램'이 보건소에서 절주사업을 수행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

    될 것으로 기대하십니까?

   □1.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.    □2.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.

   □3. 보통이다.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□4. 도움이 될 것이다.  

   □5. 아주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.


11. 귀하는 본 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셨습니까?

   □1.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.      □2.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.         □3. 보통이다.

   □4. 참여하는 편이었다.         □5. 적극 참여하였다.


12. 다음은 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 참여 전과 후에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생각이 바뀐 것이 있다면 ∨표시하여 주십시오.


 알코올 관련 내용

 교육 전

 교육 후

 그렇다

 아니다

 그렇다

 아니다

① 알코올은 습관성이 강한 물질이다.

 

 

 

 

② 알코올은 지방간의 원인이 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③ 알코올이 장기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에

   만성효과로서 내성과 의존성이 있다

 

 

 

 

④ 알코올은 태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.

 

 

 

 

⑤ 알코올은 성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⑥ 술은 칼슘배출을 증가시켜 뼈를 약하게 한다.

 

 

 

 

⑦ 적정 음주량은 남성은 3∼4잔, 여성은 2∼3잔 이다.

 

 

 

 

⑧ 남자인 경우 5잔 이상은 과음에 해당된다.

 

 

 

 

⑨ 알코올에 대한 의존을 흔히 알코올중독이라 한다.

 

 

 

 

⑩ 술은 뇌, 간장, 췌장, 위장에 영향을 주며, 암 발생을

   증가시킬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
13. 귀하가 근무하는 보건소에서절주사업수행시 가장 애로사항은 무엇입니까?

   □1. 사업수행인력 부족

   □2. 사업재정 불충분

   □3. 절주관련 정보 및 홍보자료 부족

   □4. 지역주민의 참여 및 절주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



★★★ (지금까지 설문에 성실히 응답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.) ★★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