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보건협회가 주관한 2005년도 전국보건소 절주담당자 교육프로그램 만족도평가 설문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기간은 2005년 9월1일∼9월9일까지 1박 2일 동안 3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, 강의는 총 7강(각 강의시간 : 1시간 30분, 사례발표 : 50분)으로 구성되었다.
▶설문지 조사기간:2005년 9월 1일∼9월 9일
▶설문 응답자수 : 160명
▶통계분석방법 :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(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)
10.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, 빈도분석 실시
☞ 설문지 항목 1, 2, 3, 4, 5번
응답자의 특성은 표 1과 같다. 절주교육 프로그램만족도평가 설문지 응답자수는 160명이었다. 응답자들은 남성 30명(18.8%), 여성 130명(81.3%)이었다. 응답자 연령의 평균은 39.86세(표준편차 : 7.63)로 30∼40대(76.7%)가 주를 이루었으며, 절주사업을 담당한 기간의 평균은 9.10개월(표준편차 : 8.55)이었고, 간호학을 전공한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거의 절반에 이르는 48.1%를 차지하였다.
표 1. 절주교육 프로그램 평가설문지 응답자의 특성
빈도
퍼센트(%)
성 별
남 성
여 성
30
130
18.8
81.3
연 령 별 *
20대
30대
40대
50대
22
50
72
15
13.8
31.4
45.3
9.4
전 공
간호학
보건학
사회복지학
식품영양학
교육학
기타
77
24
9
12
1
37
48.1
15.0
5.6
7.5
0.6
23.1
* 무응답자 : 1명(0.6%)
응답자의 보건소 근무지역을 살펴보면전남지역26명(16.3%)으로 가장 많았으며, 서울지역17명(10.6%),경기지역15명(9.4%),경남 및 충남지역각각 14명(8.8%) 순이었다.(표 2)
표 2. 응답자의 보건소 근무지역
☞ 설문지 항목 6번
응답자가 근무하는 보건소에서 4가지 필수사업(금연, 절주, 운동 및 영양) 중 절주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에 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66.9%(107/160)가
'4순위' 라고 답하였고, '절주사업 미시행' 10.6%(17/160), 4가지 모두
'동등하게 행' 8.8%(14/160), '3순위' 6.3%(10/160),
'2순위' 5.0%(8/160), '1순위'는 2.5%(4/160)에 불과하였다.(표 3)
표 3. 절주사업 비중
☞ 설문지 항목 7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의 유익성에 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절반이 넘는 56.3% (매우유익 : 15%, 유익 : 41.3%)가 대체로
'유익하다'고 응답하였으며, '보통'이 36.3%, 대체로
'유익하지 않았다' 는 응답은 7.6%에 불과하였다.(표 4)
표 4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유익성
☞ 설문지 항목 8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에 관한 질문에'유익성·흥미유발'
55.3%(88/159), '강의내용' 28.9%(46/159),
'시간배분' 8.8%(14/159), '참여도' 6.9%(11/159) 순으로 나타났다.(표 5)
표 5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되어야 할 점
무응답 : 1명(0.6%)
☞ 설문지 항목 9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시간에 대하여는
'적절하다'는 응답의 비율이 72.5%(116/160)로 가장 높았으며,
'너무 길다'15.6%(25/160), '너무 짧다'고 응답한 비율은 11.9%(19/160)로 가장 낮았다.(표 6)
표 6. 절주교육 프로그램 시간의 적절성
☞ 설문지 항목 10번
이번 실시된
'절주교육 프로그램'이 응답자가 근무하는 보건소에서 절주사업 수행시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가? 라는 물음에 대체적으로
'도움이 될 것'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5.1% (도움 : 51.3%, 아주 도움 : 13.8%)였고,
'보통'25.6%, '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'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9.4%를 차지하였다.(표 7)
표 7. 절주사업 수행에 도움 정도
☞ 설문지 항목 11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 참여정도에 관한 질문에 대체로
'참여함' 67.5%(참여 : 36.9%, 적극참여 : 30.6%),
'보통'이 30.6%, '거의 참여하지 않았다'는 응답은 1.9%로 낮았다.(표 8)
표 8. 절주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도
☞ 설문지 항목 12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실시 전과 후에 절주관련 지식 10문항을 측정한 결과
'교육 전 절주관련 지식'의 평균은 8.65(표준편차 : 1.63)였고,
'교육 후 절주관련 지식'의 평균은 9.64(표준편차 : 0.83)로 교육 후에 절주관련 지식이 대략 10%포인트 상승했음을 보여준다.(표 9)
표 9. 교육 전 · 후의 절주관련 지식
평 균
표 준 편 차
교육 전 지식
교육 후 지식
8.65
9.64
1.63
0.83
무응답 : 4명(2.5%)
☞ 설문지 항목 13번
표 10에서 절주사업 수행시 애로사항으로
'절주정보 및 홍보자료 부족'이 35,4%(56/158)로 가장 높았고,
'지역주민참여 및 절주사업인식 부족'33.5%(53/158), '사업수행인력 부족'23.4%(37/158),
'사업재정 불충분' 7.6%(12/158)의 순으로 나타났다.
표 10. 절주사업 수행시 가장 애로사항
무응답 : 2명(1.3%)
이번 실시된
'절주교육 프로그램'의 만족도평가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, 응답자가 설문지 항목 7번의
'절주교육 프로그램'의 개선점으로 '강의 내용 및 강의방법'을 지적한 것을 제외하면,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는 의견이었다.(설문지 7∼11번 항목) 추가적으로 절주사업이 금년에 4가지 필수사업 중 하나로 포함되어 기존의 필수사업에 비해 사업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.(설문지 6번 항목)
향후 보건소에 절주관련 정보 및 홍보자료 제공과 아울러 지역사회주민을 대상으로 범국민적인 절주사업의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.(설문지 13번 항목)
김영규 / 대한보건협회 홍보팀장
◆ 보건소 절주지도자교육에 대한 만족도평가 설문지 ◆
◎ 다음 질문을 읽고 해당사항을 기입하시거나 ∨표시하여 주십시오.
1. 귀하의 성별은? □1. 남자 □2. 여자
2. 귀하의 연령은? (만 세)
3. 귀하가 근무하는 보건소는 어느 지역입니까?
□1. 부산 □2. 광주 □3.인천 □4. 전남 □5. 대전 □6. 강원
□7. 서울 □8. 대구 □9. 울산 □10. 경북 □11. 경남 □12. 경기
□13. 충북 □14. 충남 □15. 전북 □16. 제주
4. 절주사업을 담당하신 기간은? ( )년 ( )개월
5. 귀하의 전공은 ?
□1. 간호학 □2. 보건학 □3. 사회복지학
□4. 식품영양학 □5. 교육학 □6. 기타
6. 귀하가 근무하는 보건소에서는 4가지 필수사업(금연, 운동, 영양, 절주) 중
절주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?
□1. 1순위 □2. 2순위 □3. 3순위 □4. 4순위
□5. 모두 동등하게 시행 □6. 절주사업 시행하지 않음
7. 이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이 얼마나 유익하였다고 생각하십니까?
□1. 매우 유익하였다. □2. 유익하였다. □3. 보통이다.
□4. 별로 유익하지 않았다. □5. 전혀 유익하지 않았다.
8. 이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서 부족한 점이나 고칠 것이 있다면?
□1. 강의내용 □2. 시간배분 □3. 유익성, 흥미유발 □4. 참여도
9.
'절주교육 프로그램' 시간의 적절성은?
□1. 너무 길다 □2. 적절하다 □3. 너무 짧다
10. 이번
'절주교육 프로그램'이 보건소에서 절주사업을 수행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
될 것으로 기대하십니까?
□1.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. □2.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.
□3. 보통이다. □4. 도움이 될 것이다.
□5. 아주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.
11. 귀하는 본
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셨습니까?
□1.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. □2.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. □3. 보통이다.
□4. 참여하는 편이었다. □5. 적극 참여하였다.
12. 다음은
'절주교육 프로그램'에 참여 전과 후에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생각이 바뀐 것이 있다면 ∨표시하여 주십시오.